국제구조위원회 (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복잡하고 심각한 인도적 위기 속에서 사람들의 삶을 지키고 있습니다. 

2024년, 국제구조위원회는 전 세계 40개국 이상에서 3,65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지원했습니다. 110만 명 이상의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230만 명 이상에게 깨끗한 식수를 공급했으며, 1,000만 건에 가까운 의료 진료를 제공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사상 최대 규모인 16,692명이 새로운 보금자리와 삶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효과가 입증된 혁신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확산시켜 왔으며, 특히 영양실조 대응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의 인도적 활동은 전적으로 후원자 여러분의 지지와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여러분은 단순한 재정적 기여를 넘어 소중한 아이디어와 통찰력, 전문성, 그리고 신뢰를 나눠 주셨습니다. 함께해 주신 후원자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국제구조위원회 총재 데이비드 밀리밴드가 카메라를 보고 환하게 웃고 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여러분의 도움 덕분에 2024년에 3,650만 명의 고객들(도움을 받는 사람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변함없는 지지를 보내주신 후원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데이비드 밀리밴드
국제구조위원회 총재

활동지역

전 세계 40개 이상의 위기국가에서 활동하는 국제구조위원회는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분쟁과 재난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이 생존하고, 회복하고, 삶을 재건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활동 지역보기

국제구조위원회가 활동하는 전 세계 40개 이상의 위기국가 지도

2024년 국제구조위원회의 탁월한 활동

2024년, 국제구조위원회는 전 세계 40개 이상의 위기국가에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솔루션과 삶을 변화시키는 프로그램을 통해 3,65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전했습니다. 

영양실조 치료부터 어린이 보호, 예방접종부터 난민 재정착 지원까지, 국제구조위원회는 분쟁과 재난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이 생존하고 회복하며 삶을 재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650만 명 +

의 인도적 위기에 도움을 받은 사람들을 도왔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가족들이 생존, 회복하여 자신의 미래를 직접 재건할 수 있도록 쉬지 않고 일하고 있습니다.

영향력 한눈에 보기

9,976,779건

의 의료 진료를 제공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위기 현장에서 생명을 구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단 현장에서 전하는 의사 모가헤드의 이야기

1,587,634명

에게 현금 또는 바우처를 제공하였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위기의 현장에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고객을 돕기 위해 현금 지원을 제공합니다.

현금 지원에 대해 더 알아보기
  • Add commentMore actions
    인도적 위기에 도움을 받은 사람들: 3,650만 명
  • 현금 또는 바우처 제공을 받은 사람들: 1,587,634명
  • Add commentMore actions
    깨끗한 식수를 지원받은 사람들: 2,370,804명
  • 보호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은 성폭력 생존자들: 40,444명
  • 안전 공간 및 기타 보호 서비스를 받은 사람들: 126,913명
  •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은 어린이와 청소년들: 1,141,256명
  • Add commentMore actions
    의료 진료 제공 건수: 9,976,779건
  • 영양 지원을 받은 사람들: 688,240명

현장에서 전해온 고객들의 이야기

할머니 아미나가 활짝 웃는 손자 압둘라히를 품에 안고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폭력 사태로 인해 아미나는 생후 19개월 된 손자 압둘라히를 안고 도망쳤습니다. 압둘라히는 심각한 영양실조로 생명이 위독한 상태였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가 운영하는 영양실조 클리닉에서 며칠간 집중 치료를 받은 압둘라히는 점차 호전되었습니다. 1년 후 다시 만난 압둘라히는 건강히 잘 지내고 있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에 정말 감사합니다. 그들이 없었다면 압둘라히는 살지 못했을  거예요." 아미나는 말합니다.

1 of 5
키메가 국제구조위원회 스태프와 함께 수확한 옥수수를 바라보며 흐믓하게 웃고 있습니다.

"우리 집에서 나는 수확의 기쁨은 우리 가족만의 것이 아니에요. 이웃, 친구, 낯선 사람들과도 나눕니다. 우리의 땅으로 거둔 결실은 단지 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죠. 우리는 그 수익으로 아픈 가족의 치료비를 감당하고, 아이들의 교육비도 마련합니다."

카메는 차드호 인근에 사는 농부이자 15명의 자녀를 둔 아버지입니다. 주변의 많은 농부처럼 카메의 땅도 염분화로 인해 황폐해진 상태였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의 지원으로 농법을 전환하여 밭에서 땅콩, 토마토, 고추, 옥수수, 구아바가 다시 자라고 있습니다. 카메에게 농사는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닙니다. 카메에게 농사는 아이들과 이웃을 먹이고, 지역사회를 재건하며, 미래를 지키는 일입니다.
 

2 of 5
두 남자가 벌집을 꺼내어 보고 있습니다.

"제가 100% 로컬 재료로 순수한 제품을 만든다는 것을 가족들도 자랑스러워해요. 집에 꿀 한 병 가져가면 다들 멋지다고 해요."

아흐마드는 양봉에 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생각하지 못한 난관들을 맞이하게 됩니다. 처음 시작한 벌통에서 실망스러운 결과만 나왔기 때문입니다. 아흐마드에게는 멘토가 필요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가 시티 재단과 함께한 '회복이 있는 내일(Resilient Futures) 프로그램을 통해 성공한 양봉가이자 국제구조위원회의 고객인 후타이파를 만나게 됩니다.

아흐마드는 자신의 양봉 사업에 큰 꿈을 갖고 있습니다. "졸업 후 제 목표는 단순히 수십, 수백 개가 아니라, 수천 개의 벌통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아흐마드는 지역사회에 일자리를 만들고, 양봉에 대한 열정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3 of 5
포니테일 머리를 한 어린이가 카메라를 바라보고 웃고 있습니다.

시리아 북동부의 한 국내 실향민 캠프에서 다섯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아말은 1년 전 아들, 나지가 영양실조 진단을 받았을 때를 기억합니다. 

"손톱도 머리카락도 자라지 않았어요. 발달 지연도 있었고요."라고 아말은 회상합니다. 당시 나지의 상태는 매우 위중했지만, 국제구조위원회의 신속한 치료와 영양실조 치료식 덕분에 나지는 천천히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 나지는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세심한 부모의 관찰, 국제구조위원회의 의료 서비스, 그리고 즉시 사용 가능한 영양실조 치료식의 도움으로 나지는 건강하고 튼튼하게 자랐습니다. 형제들과 뛰어놀 만큼 활기차게 변한 나지를 보며, 아말은, "이제는 눈에 머리카락이 들어가지 않도록 포니테일로 묶어줘야 할 정도예요."라며 웃음 짓습니다.

4 of 5
미국에서 재상봉한 두 자매가 서로를 안고 환하게 웃고 있습니다

나요타와 가족들은 콩고민주공화국의 고향을 떠나 짐바브웨 난민캠프에서 16년을 보냈습니다.

"우리는 매우 절박한 상황에서 콩고를 떠났고, 짐바브웨에서도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정말 고통스러웠습니다."

그럼에도 가족은 희망을 잃지 않았습니다. 언젠가는 안전한 곳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이 있었습니다. 가족은 미국 켄터키주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고, 국제구조위원회는 주거 마련, 일자리, 새로운 환경 적응까지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그리고 교통수단이 없는 나요타를 위해 우버(Uber)와 협력하여 나요타가 병원 진료나 취업 면접 같은 중요한 순간에 교통수단을 제공했습니다. 

"오늘 우버를 타고 공항에 가서 여동생과 동생의 두 아들을 데려올 거예요. 오늘 저는 정말 기뻐요."

5 of 5

한국 활동 소식

파이퍼 페라보 홍보대사가 한국사무소 간판 앞에 서서 포즈를 취하고 있습니다.
영화 코요테 어글리, 드라마 코버트 어페어(Covert Affairs)로 잘 알려진 배우 파이퍼 페라보는 2016년부터 국제구조위원회의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다양한 인도주의 의제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국제구조위원회 한국 사무소를 찾은 그녀는 언론 매체와 만나 위기 현장에서의 회복 이야기와 국제구조위원회의 활동을 직접 전했습니다.

"난민을 돕는다는 건 단지 위기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삶의 터전을 마련해 주는 일입니다. 그 길고 긴 과정이 얼마나 어려운지 처음에는 몰랐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집을 구하고,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일하면서 일상을 되찾는 모습을 보면 마음 깊이 감동하게 됩니다." - 파이퍼 페라보, 국제구조위원회 홍보대사
이은영 대표가 남수단 고객들과 함께 수확물 앞에서 활짝 웃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국제구조위원회 이은영 한국 대표는 세계 위기국가 5위인 남수단을 찾았습니다. 이곳은 전쟁뿐 아니라 기후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땅이었습니다. 아종톡 캠프에는 수단 분쟁을 피해 온 난민들이 대부분이었지만, 가뭄과 폭염, 불규칙한 강우로 전통 농업이 큰 타격을 입었고, 인도적 지원 감소로 식량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었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는 기후회복력을 높이는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온과 가뭄에 강한 씨앗을 보급하고 농부들에게 실용적인 농업 교육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씨앗 하나가 농부들에게 자립의 희망을 심어줍니다. 후원자님의 관심과 도움은 누군가에게 희망의 씨앗이 되어 자라나고 있습니다." - 이은영 국제구조위원회 한국 대표

재정보고

국제구조위원회(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는 세계 최악의 인도적 위기에 대응하여 효율적, 효과적으로 후원금을 사용합니다. 후원금의 87%를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하며 후원금의 효율적인 사용과 업무의 효율성에 대해 자선 감사 기관으로부터 지속해서 최고 점수를 받고 있습니다.

  • 자선 감사 기관 채리티워치(CharityWatch)로부터 최고 등급 A를 받았습니다.
  • 자선단체 평가 기관 채리티 네비게이터(Charity Navigator)의 최고등급인 별 4개를 받았습니다.
  • BBB Wise Giving Alliance의 책무성 기준 20가지를 모두 충족합니다.
  • NGO 평가기관 Candid(구 가이드스타)로부터 재정 투명성 최고등급을 받았습니다.

국제구조위원회 재정 효율성 자세히 보기

후원자 인사이트

강연 중인 윤혜식 후원자

국제구조위원회는 ‘효율성’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기관입니다. 단순한 지원을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개입과 그 이후의 효과 분석, 그리고 이를 정책으로까지 연결하는 구조가 매우 차별화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내부 인재들의 전문성은 물론, 세계 각국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인상 깊습니다. 특히 에어벨 임팩트 랩과 같이 후원금을 대규모로 집행하기 전에 현장에서 실험을 통해 최고의 효율과 효과를 검증한 뒤, 전략적으로 자원을 운용한다는 점은 놀라웠습니다. 그 과정 속에서 후원자이자 지지자로서 큰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윤혜식 후원자
클라우드 & AI 전문가, 투마일스 대표